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4년 군무원 헌법 해설2

2024 군무원 5급 헌법 해설(2) - 아쉽공 기출해설 11. 다음 중 '위헌법률심판의 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① 법률과 같은 효력을 갖는 관습법도 위헌법률 심판의 대상이 된다.② 폐지된 법률이라도 그 부칙에 의해 시행령이 효력을 지속하고 있다면 위헌법률심판의 대상이 된다.③ 군정법령은 군정장관의 명의로 공포된 법령(Ordinance)의 형식을 취한 것으로 위헌법률 심판의 대상이 될 수 없다.④ 유신헌법 제53조에 근거한 긴급조치도 법률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므로 위헌법률심판의 대상이 된다. 정답 ③① (O) 법률과 같은 효력을 가지는 이 사건 관습법도 당연히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이 된다(헌법재판소 2013. 2. 28. 선고 2009헌바129)② (O) ③ (X) 이 사건 법령들은 1945. 9. 25... 2024. 7. 31.
2024년 군무원 5급 헌법 해설(1) - 아쉽공 기출해설 1. 다음 중 '대한민국 헌정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① 제헌헌법(1948년 헌법)은 군인은 현역을 면한 후가 아니면 국무총리 또는 국무위원에 임명될 수 없도록 하였다.② 제3차 개정헌법(1960년 헌법)은 선거의 관리를 공정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 및 각급의 선거관리 위원회를 두도록 하였다.③ 제5차 개정헌법(1962년 헌법)은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정당의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④ 제8차 개정헌법(1980년 헌법)은 행복추구권, 연좌제 금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의 불가침, 환경권, 적법절차원리를 신설하였다. 정답 ①② (X) 각급의 선거관리위원회를 두도록 한 것은 제5차 개정헌법이다.③ (X) 정당의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해 보조.. 2024.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