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위공채134

[프라임 74기 경위공채 합격수기] 합격자 김00 합격수기 안녕하십니까 74기 경위공채시험에 합격한 김민성입니다. 저는 공부 방법에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기에 저의 합격 수기는 ‘이런 방법으로 공부한 사람도 있구나’ 하고 생각하시는 정도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험기간 (2021.12.15. - 2024.12.12.) 저는 경찰행정학과를 3학년까지 재학 후 휴학을 하고 약 3년간 수험공부를 하였습니다. 3년간의 수험기간 동안 3번의 필기합격을 하였고 2번의 최종 불합격 끝에 최종합격을 할 수 있었습니다. 생활 습관(74기 기준).월 ~ 금 : 09시 ~ 24시토요일 : 09시 ~ 23시 일요일을 제외하고 주 6일 공부하였으며 시험 한 달 전부터는 일요일에도 공부하였습니다. 초시 때 혼자 밥 먹는 것이 싫어서 점심만 먹던 것이 습관이 되어 필기 공부.. 2024. 12. 26.
[프라임 경위공채 74기 합격수기] 최00 합격수기 경위공채를 준비하게 된 동기와 수험기간  안녕하십니까 74기 경위공채 합격자 최영민입니다. 제 합격수기가 도움이 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몇자 적어보겠습니다. 학창시절 경찰이란 꿈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대학에서 졸업한 선배의 특강을 통해 경찰간부후보생 시험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이후 이왕 경찰시험을 준비하는데에 있어서 경찰간부 시험을 도전해 보고자 마음먹었고 정말 운이 좋게도 이번시험에 합격하였습니다. 수험기간은 4학년 2학기인 2022년 8월부터 준비하여 2024년 8월까지 약 2년간 준비하였고, 학부시절 들었던 강의 중 일부 도움되는 내용들도 있었기에 총 준비기간은 2년+α 라고 생각합니다.  공부법 및 과목별 공부법 1. 공부패턴 : 주 6일 (토요일 저녁 ~.. 2024. 12. 23.
[프라임 법학원 74기 경위공채 합격수기] 권00 합격수기 경위공채를 준비하게 된 동기와 수험기간안녕하십니까 이번에 74기 경위 공채에 합격하게 된 권00라고 합니다. 저는 대학에 다니면서 졸업 후에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제 장점, 성격과 잘 맞는 직업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경위공채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알아본 후에는 대학에서도 헌법이나 민법에 관한 타 학과 전공수업도 들었습니다. 그 때에 제가 법과목과 잘 맞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교를 다니면서 틈틈이 공부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수험기간은 졸업을 하는 해인 2023년 1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2024년 8월까지 1년 7개월 + 그 전에 틈틈이 공부하고 타 학과 전공까지 들었던 기간 5개월로 약 2년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저는 다른 학원 강의들도 맛보기 식으로 들어봤지만 경위공채를 집.. 2024. 12. 23.
[프라임 경찰간부 74기 합격수기] 김0현 합격수기 1.경간을 준비하게 된 동기 저는 6살 무렵부터 경찰을 꿈꿔왔고, 학청시절부터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하였으며, 경찰행정학과에 진학하였고, 의무경찰로 복무를 하며 경찰에 대한 꿈은 더 커져 갔던거 같습니다. 그런 과정에서 자연스레 경찰 간부 후보생 시험을 접하게 되었고 이를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도전에 앞서 방향을 잡기 위해 합격하신 선배님들에게 여쭤보는 과정에서 프라임법학원을 추천 받았고, 72기 초시에 프라임 법학원 온라인 종합반을 수강하였습니다. 72기 이후에는, 범죄학과 경찰학 단과의 경우만 프라임 법학원에서 수강하였지만, 72기 초시에 학교를 병행하는 상황에서도 필기 컷트 점수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던 것이 프라임 학원의 많은 도움을 받았고 이를 제가 잘 활용하였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이하 온.. 2024. 12. 23.
2023년 경찰 1차 헌법 해설 - 아쉽공 기출해설 1. 헌법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 관습헌법도 성문헌법과 마찬가지로 주권자인 국민의 헌법적 결단의 의사 표현이고 성문헌법과 동등한 효력을 가지며, 관습헌법의 요건들은 그 성립의 요건일 뿐 효력 유지의 요건은 아니다. ② 관습헌법이 성립하기 위하여서는 관습이 성립하는 사항이 단지 법률로 정할 사항이 아니라 반드시 헌법에 의하여 규율되어 법률에 대하여 효력상 우위를 가져야 할 만큼 헌법적으로 중요한 기본적 사항이 되어야 한다. ③ 일반적인 헌법사항 중 과연 어디까지가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헌법사항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일반추상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재단할 수는 없고, 개별적 문제사항에서 헌법적 원칙성과 중요성 및 헌법원리를 통하여 평가하는 구체적 판단.. 2023. 3. 26.
[아쉽공 기출해설] 22년 경행경채 헌법 해설 - 22. 09. 01시행 1. 관습헌법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 성문헌법이라고 하여도 그 속에 모든 헌법사항을 빠짐없이 완전히 규율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한 헌법은 국가의 기본법으로서 간결성과 함축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형식적 헌법전에는 기재되지 아니한 사항이라도 이를 불문헌법 내지 관습헌법으로 인정할 소지가 있다. ② 관습헌법은 일반적인 헌법사항에 해당하는 내용 중에서도 특히 국가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사항으로서 법률에 의하여 규율하는 것이 적합하지 아니한 사항을 대상으로 한다. ③ 우리나라와 같은 성문의 경성헌법 체제에서 인정되는 관습헌법 사항은 하위규범형식인 법률에 의하여 개정될 수 없다. ④ 관습헌법이란 실질적 의미의 헌법사항이 관습으로 규율되고 있다는 것을 뜻할 뿐이.. 2023. 2. 4.
반응형